목차

    폴더블폰 관련주 총정리

    폴더블폰이란 접히는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스마트폰으로, 안으로 접히는 "인폴딩", 밖으로 접히는 "아웃폴딩", 양쪽으로 접을 수 있는 "인앤아웃폴딩" 등으로 구분. 폴더블폰의 생산을 위해서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강화 유리를 대신할 투명 PI 필름, PI 필름의 경도를 높일 수 있는 하드코팅 소재, 폴더블폰에 특화된 터치 집적회로(IC)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인폴딩 방식을 채택한 삼성의 ‘갤럭시 폴드’

    ▲인폴딩 방식을 채택한 삼성의 ‘갤럭시 폴드’

    인폴딩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화면이 내부에 있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외부에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필요하고, 접었을 때 별도의 화면이 필요해 두께가 두꺼워지고 접는 반경이 좁아 화면에 무리가 갈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내부 화면을 보호하기엔 아웃폴딩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에도 인폴딩 방식이 유리하다는 평을 받는다.

    ▲아웃폴딩 방식을 채택한 화웨이의 ‘메이트 X’

    ▲아웃폴딩 방식을 채택한 화웨이의 ‘메이트 X’

    아웃폴딩 방식은 화면의 접히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기술적 난이도가 비교적 낮다. 또한, 화면이 외부에 있기 때문에 별도의 스크린이 필요 없다. 내부의 빈 공간이 필요하지도 않아 인폴딩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가 장점이다. 좁은 베젤(******)을 낮은 기술력으로도 실현할 수 있다.

    PCB와 FPCB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는 기존의 딱딱한 PCB에 유연한 특성을 부여한 전기회로기판이다. 모바일기기의 경우 휴대를 고려해 크기를 최소화기 위해 디스플레이 뒤로 FPCB를 접어서 넣기 때문에 얇고 유연해야 한다. FPCB는 DDI(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와 달리 자체적으로 독립적인 기능을 하지는 않습니다. 전자기기의 AP가 명령하는 신호를 DDI로 보내는 전달자 역할이 FPCB의 핵심 기능이다.

    FPCB는 전자기기의 공간활용과 무게 등에서의 장점 때문에 모바일 기기가 확산되는 최근에 그 활용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KH바텍(060720) 

    동사는 설립 이후 가전, 휴대폰, 노트북 등 휴대용IT기기의 기구물 위주사업을 영위하였으며, 현재는 이동통신산업 및 LED조명산업이 주요 영업부문이며, FPCB, LED조명 관련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다. 휴대용단말기 통신부품 제품의 특성상 초경 박하, 초소형화, 고신뢰성화, 고급화 및 기능 복합화가 되고 있으므로 고기술 요구되는 분야다. 당기말 기준 베트남, 중국 현지생산 법인 등 총 6개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일부 폴더블폰이 접히는 부분을 연결하는 '힌지(hinge)' 방식을 채택해 출시로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고 있다.  

     

    2019.11.27.  - "KH바텍, 폴더블폰 '힌지' 힘입어 2020년 실적 개선"

    2020.02.17. - KH바텍 세경하이테크 주가 초반 급등, 삼성 갤럭시Z플립 흥행의 수혜


    상보(027580)

    동사는 1989년 4월에 설립되어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을 중심으로 차량 및 건축용 윈도우필름, 미디어필름, 신소재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동사는 2007년 10월 한국증권거래소 코스닥증권시장에 회사의 주식을 상장함. 광학필름은 LCD BLU에 적용되는 핵심부품으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굴절 및 반사하여 빛의 방향을 전면으로 항하게 함으로서 빛 손실을 최소화하고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있다.

    AgNW(은나노와이어) 소재를 이용한 ITO(Indium-Tin Oxide) 대체 투명전극을 개발 중이며, AgNW 투명전극의 무에칭 패턴 형성 원천기술 및 상용화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AgNW 필름 등을 생산 하고 있다.  

     

    2019.06.28. - 상보 "중국·대만 고객사와 그래핀 활용 'QD용 배리어필름' 공급 협상"

    2018.12.18. - (주)상보, 대형 디스플레이 터치용 AgNW 전극필름 세계시장 본격 공급


    파인테크닉스(106240)

    동사는 2009년 1월1일부로 주식회사 파인디앤씨와 인적분할 설립되어 휴대폰 부품제조 및 LED 조명, LED 스탠드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IT 모바일 제품의 관련 주요부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공공시장 및 일반가정용, 산업용 실내외 조명을 위한 민수시장을 대상으로 LED조명 제조사업 영위중. 동사는 IT 관련 기구부품의 개발 및 제조를 준비하고 해외업체에도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휴대폰 부품인 슬라이드 힌지 모듈 및 내외장 케이스류 등 제조,판매하고 있다. 힌지는 디스플레이를 접고 펴는 과정을 해결하는 핵심 기구물이다.  

     

    2019.11.20. - [리포트 브리핑]파인테크닉스, '폴더블 내장힌지 제조 기업 ' Not Rated - 교...

     

    테이팩스(055490)

    동사는 1994년 4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2017년 유가증권시장에 주권을 상장하였다. 동사는 전자 소재용 테이프와 포장용 테이프, 그리고 식품포장용 랩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전기차 분야를 중심으로 시장은 급성장 할 것으로 판단되며 2024년에는 더 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리튬 2차전지의 안정성을 증가 시키는 2차전지용 테이프 시장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폴더블폰에 들어가는 플렉서블 OLED 핵심소재인 OCA(광학용 투명 접착필름) 제품 개발 완료 하였다.

     

    2018.05.31. - [생생코스닥]테이팩스, 애플 플렉서블 OLED 확대 최대수혜 부각 “↑“

    2018.07.20. - [생생코스피]테이팩스, 폴더블폰 관련주 강세 속…“OCA필름 개발 부각”

     

    삼성전자(005930)

    한국 및 CE, IM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Harman 등 246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이다. 세트사업에는 TV,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CE부문과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부문이 있음. 부품사업에서는 D램, 낸드 플래쉬,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사업의 DS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18년11월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폴더블폰에 적용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인피니티 플렉스 디스플레이, 출시예정 폴더블폰 등을 공개. 19년 하반기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 출시 하였고, 2020년 상반기에 'Z플립'을 출시하였다.

     

    2020.04.14. - 삼성전자, 하반기 갤럭시Z플립 5G·갤럭시폴드2 출시

    2020.03.26. - 중국서 삼성 갤럭시Z플립 톰브라운 또 '3분 완판'

     

     

    코오롱인더(120110)

    동사는 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로 2010년 1월 5일자로 분할 등기를 완료함. 사업특성상 산업자재군, 화학소재군,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 의류소재 등의 5개 사업군으로 나뉘며 산업자재군이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함. 원료, 중간재 및 소비재까지 다양한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경기변화에 대해 유동적이고 즉시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CPI필름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양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CPI필름은 폴더블폰에서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구부리기 위해 유리를 대체하는 핵심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2019.12.05. - 코오롱인더, 아라미드 섬유·CPI필름 성장동력…목표가↑-KTB

    2019.12.04. - 폴더블폰 효과 CPI 고성장…"코오롱인더 출하량 증가 예상"

     

    SKC코오롱PI(178920)

    동사는 2008년 폴리이미드 필름 및 관련 가공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동사는 2014년부터 전세계 PI(Polyimide) 필름 판매량 기준 1위를 달성했으며, 이와 같은 당사의 높은 판매량은 원료비 절감으로 이어지고 있음. 동사는 다양한 산업과 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에 대응하는 공급 유연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용도로 PI(Polyimide) 필름을 적용하며 시장 저변을 확보하고 있다.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가 합작해서 설립한 폴리이미드필름(PI필름) 제조업체다. PI바니쉬 양산 및 폴더블폰용 베이스 PI필름 매출 확대에 따른 수혜 전망이다.  

     

    2020.03.06. - SKC코오롱PI 최대주주 코리아PI홀딩스로 변경

    2019.03.13. - SKC코오롱PI, 'PI 바니시' 사업 개시…"2분기 양산 공급"

     


    SKC(011790)

    폴리우레탄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프로필렌옥사이드 제품 등을 생산, 판매하는 화학사업과 LCD, 일반 산업재의 부품, 태양전지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생산, 판매하는 Industry소재사업을 영위. 주요 종속회사는 Industry소재사업 등을 영위하는 SKC하이테크앤마케팅, 전자재료사업 등을 영위하는 SK텔레시스와 SKC솔믹스, BHC사업을 영위하는 SK바이오랜드 등이 있다. 

    17년12월 디스플레이용 CPI필름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신규시설 투자 결정. 2019년10월 SKC 충북 진천공장에 투명PI필름 생산설비를 준공 하였다.  

     

    2018.04.24. - “CPI 확장성 무궁무진… 폴더블 폰 등 수조원대 시장 열릴 것”

    2019.05.10. - SKC "투명PI,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협의 중"

     

    원익큐브(014190)

    동사는 1979년 6월 12일 설립되어 각종 화학제품 및 건자재의 제조와 유통 및 수출입업과 고급 디지털 인쇄기 유통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동사는 1996년 4월 26일에 상장되어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가 개시 되었다. 석유화학산업은 원유에서 추출한 나프타와 천연가스 등을 기초원료로 하여 에틸렌, 벤젠 등 기초유분을 생산하고 이들을 원료로 하여 합성수지, 합성고무, 기타 정밀화학 중간재 및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산업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활용 가능한 소재로 은나노와이어(AgNW)와 관련 Downstream을 개발/진행 중. 은나노와이어(AgNW)의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2019.05.27. - 원익큐브, 무역전쟁 희토류 대체재 은나노와이어…플렉서블 폰 수혜

    2018.03.05. - [특징주] 원익큐브, 美 특허청 삼성 폴더블폰 등록…플렉시블 핵심기술 부각 ...

     

    파인텍(131760)

    2008년 11월 설립되었으며 BONDING 장비와 LCD MODULE, TSP, TOUCH KEY, ESL 등의 부품을 생산하는 디스플레이 장비 및 부품 제조업체다. 세계 최초로 공용 BONDING 장비를 개발 및 납품하였으며, 센서 제품으로 첫 전장 시장 진입에 성공.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이 OLED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가전용 Touch key, ESL, Digitizer, 전장부품 등의 분야로 사업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

    7인치 이상의 폴더블폰에 들어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 공정에 적용 가능한 신형 본딩장비 개발을 완료 하였다.  

     

    2019.04.18. - 파인텍, 中 BOE 6세대 AMOLED 복합 본딩장비 낙찰

    2018.07.19. - 파인텍 "7인치 이상 폴더블폰 본딩장비 개발 완료"

     

    비에이치(090460)

    동사는 첨단 IT산업의 핵심부품인 FPCB와 그 응용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공급하는 회사로 전문 FPCB 벤처 기업임. FPCB 제품의 주요 목표시장은 스마트폰, OLDE, LCD모듈, 카메라모듈, 가전용TV, 전장부품 등을 생산하는 세트 메이커이다. 고객의 대부분은 삼성전자, LG전자, 삼성디스플레이등 국내 대형 IT제조업체들이며 또한 일본과 중국 등지로 해외 고객 확보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폴더블폰 터치 패널 부분에서 적용이 예상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를 결합한 'Y-OCTA' 탑재 기판을 삼성디스플레이에 납품하고 있다.  

     

    2019.11.10.  - [더벨][격변기 디스플레이 생태계]비에이치, 애플 와이옥타 채택에 수혜 기대

    2019.06.19. - [대신증권] 비에이치 - 디스플레이용 FPCB전문업체·폴더블폰 비에이치 FPCB ...

     

    삼성전기(009150)

    동사는 1973년 8월 8일에 설립되었으며 1979년 2월에 한국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다. 동사는 컴포넌트솔루션사업부문, 모듈솔루션사업부문, 기판솔루션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외에 사업장은 크게 국내사업장과 해외사업장으로 나뉘어져있음. 동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삼성그룹에 속한 계열회사로서 2019년 3분기말 현재 삼성그룹에는 61개의 국내 계열회사가 있다.

    삼성그룹 계열의 종합전자부품 생산업체로 주요 제품은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s), Inductor, Chip Resistor, 반도체패키지기판, RFPCB 등.  

     

     

     

    이녹스첨단소재(272290)

    동사는 이녹스로부터 2017년 인적분할돼 설립되었다. 고분자 합성/배합기술을 기반으로하여 FPCB용 소재, 반도체 PKG용 소재,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등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IT소재 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있다. INNOX HONGKONG  Co., Ltd., GUANGZHOU INNOX ADVANCED MATERIALS Co., Ltd.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다.

    연성회로기판(FPCB)용 소재 및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 등을 개발, 제조하는 업체.  

     

    2019.06.16. - [대신증권] 이녹스첨단소재 - 전방산업 FPCB에서 OLED와 반도체로 다변화되면...

    2019.10.22. - 이녹스첨단소재, 연성회로기판 세계 1위 기술력…일본 제품 대체 역할 ‘톡톡...

     

    동운아나텍(094170)

    동사는 휴대폰,태블릿,기타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아날로그 반도체 회로를 설계,개발,생산하는 팹리스 아날로그 반도체 회사임. 주력 제품인 모바일 카메라용 AF Driver IC는 2010년 중반부터 현재까지 수량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수성하고 있음. 휴대폰, 태블릿 뿐만아니라 자동차, 의료기기 등에 까지 사람의 미세한 감지능력을 반영할 수 있는 아날로그 반도체가 점차 확대 사용되고 있어 동사의 사업영역은 점차 확대될 것임.

    아몰레드(AMOLED)용 DC-DC 컨버터를 中 료욜(Royole)이 개발한 세계 최초 폴더블 스마트폰 '플렉스파이(FlexPai)'에 공급하고 있다.  

     

    2018.11.08. - 동운아나텍 DC-DC 컨버터, 세계 최초 폴더블 스마트폰에 탑재

     

    인터플렉스(051370)

    동사는 1994년 설립돼 2003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베트남에 위치한 FPCB 제조사 INTERFLEX VINA CO.,LTD.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다. FPCB 시장은 고도로 정밀해져 가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Multi FPCB, Rigid  FPCB등이 시장을 지배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동사는 신제품 및 신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각종 전자제품 등에 사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전문 제조업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FPCB(RF PCB)를 생산. 주요 거래처로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에 납품하고 있다.  

     

    2017.02.16. - 인터플렉스, OLED 아이폰에 TSP용 FPCB도 공급

     

    LG디스플레이(034220)

    동사는 TFT-LCD 및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Display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제품을 해외로 판매하고 있으며, OLED 사업에서 월페이퍼 TV, CSO TV, UHD OLED TV,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 OLED 패널 등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LG그룹 계열의 TFT-LCD/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전문업체. 폴더블 디스플레이 관련 특허 다수 보유하고 있다.  

     

    2020.01.07. - [2020 CES]LG도 '폴더블'…연내 폴더블 노트북 상용화될 듯

     

    SK이노베이션(096770)

    SK(주)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주)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분할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 분할함으로써 설립되었다. 2009년 10월 윤활유 사업부문을,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 사업부문을 각각 물적 분할하였다. 동일자를 기준일로 사명을 SK에너지(주)에서 SK이노베이션(주)로 변경하였음. 2018년 9월 말에 회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FCCL사업을 넥스플렉스에 매각 완료 하였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플렉서블커버윈도(FCW)' 개발 완료하였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개발한 FCW제품(좌)와 CES2019의 SK 부스에 전시된 FCW 장착된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모형(우)

    ▲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개발한 FCW제품(좌)와 CES2019의 SK 부스에 전시된 FCW 장착된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모형(우)

     

    2018.12.30. - SK이노베이션, 'CES 2019'서 핵심소재 FCW 공개

    디케이티(290550)

    동사는 2012년에 스마트기기용 전자부품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8년 12월 21일자로 상장되어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가 개시되었다. 스마트폰, 스마트와치용 FPCA 모듈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현재의 전자분야 부품 사업에서 응용 범위를 확장하여 ANT用 HRC부품 사업에 진출하여, RF Connective Item 응용분야에 진출하려 함. 현재 매출은 스마트폰 91.33%, 와치 6.29% 등으로 이뤄졌다.

    폴더블폰에 특화된 Y-OCTA(Youm-On Cell Touch AMOLED) 기술을 적용,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을 이용해 폴더블에 최적화된 제품을 공급중이다.  

     

    2018.12.04. - [IPO] 디케이티 "폴더블폰 시대 온다…수혜 기대"

    2019.11.19. - “디케이티 주가 상승 가능”, 삼성 폴더블폰에 부품 공급 늘어


    유티아이(179900)

    동사는 2010년 4월 16일에 터치패널 부품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스마트폰용 카메라 윈도우를 주요제품으로 하고 있다. 동사의 주력사업인 강화유리 가공은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이물 등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 부품으로써 필수적이면서도 핵심적인 부품임. 주력 제품인 스마트폰용 카메라 윈도우 커버 글라스는 엄격한 품질과 생산성을 인정받아 삼성전자의 1차 협력업체로서 커버 글라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100μ 이상 폴더블폰용 글래스 커버윈도우 개발 성공 및 양산준비 완료하였다.  

     

    2019.07.11. - 유티아이 "유리기술 한계 뛰어넘은 폴더블폰 커버글래스 완성"

    2020.02.20. - 폴더블폰 소재 전쟁···접히는 강화유리 시장 쟁탈전

     

    세경하이테크(148150)

    2006년 1월 설립되었으며 소형모바일 및 테블릿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기구물에 탑재되는 기능성 필름을 제조, 판매하는 전문 기업. 동사의 필름은 스마트기기의 부품을 조립하는 1차 협력사에 납품되며, 최종 매출처는 삼성,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Oppo로 구성됨.  5G 시장에서 스마트폰 하우징 백커버의 대체 소재인 PC+PMMA를 우수한 수준으로 개발하여 새로운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휴대폰用 Deco필름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다. 신규사업으로 글라스틱(PCPMMA) 및 폴더블 소재 가공 사업을 추진중이며,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폰用 필름 가공의 선행 개발사로 참여하였다.  

     

    2020.03.02. - "세경하이테크, 폴더블 시장 성장에 실적 '상고하저' 예상" -하나금융투자

    2019.11.18. - 하나금투 "세경하이테크, 폴더블 시장 최대 수혜…목표가 상향"

     

    켐트로닉스(089010)

    동사는 1997년 4월 1일에 (주)협진화학으로 설립되었으며, 2000년 11월 (주)켐트로닉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7년 1월 17일에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다. 동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8개며, 인도네시아 사업장 철수로 연결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주)위츠'와 '(주)팜비전'이 신규로 연결됨. 동사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전자부품사업과 전자용, 공업용 케미칼을 생산 및 식각을 하는 화학사업 사업부문을 영위하고있다.

    전자용 부품 및 화학소재 전문업체. 폴더블폰용 고경도 기능성 코팅액 및 폴더블용 UTG(Ultra Thin Glass) 개발중이다.

     

    2019.10.14. - 삼성전자 차세대 폴더블폰 소재 UTG 개발 '난항'…당장 2세대 적용 어려워

    2020.01.16. - UTG 채택한 삼성·화웨이…투명PI 업체, 판로 개척 시급

     

    폴더블폰이 시장에서 호응을 얻지 못한 건 두가지 치명적인 단점 때문이다. 무엇보다 가격이 비싸다. 삼성전자 갤럭시 폴드의 출시가격은 239만원, 화웨이 메이트X와 모토로라 레이저 2019는 각각 267만원, 176만원에 출시됐다. 기존 스마트폰과 비교했을 때 부담이 큰 가격대다.  

    둘째, 내구성이 취약하다. 폴더블폰은 디스플레이를 접었다 펴야 하는 만큼 내구성이 뛰어나야 하지만 폴더블폰 사용자 들 사이에선 출시 1년도 지나지 않아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특히 화면이 접히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주름 문제, 두드러지는 힌지(접히는 부분의 이음새ㆍhinge), 틈새에 이물질이 끼는 문제는 숱한 지적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두번째 폴더블폰 갤럭시 Z 플립의 경우엔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의 대중화를 내건 만큼 갤럭시 Z 플립의 출시가격은 폴더블폰 중 가장 싼 165만원이다. 이번에 출시된 ‘갤럭시S20 5G 울트라’ 모델(159만5000원)과 5만여원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물론 성능 면에서는 갤럭시 Z 플립이 한참 뒤처진다. 

     

    내구성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기존 폴더블폰에 탑재됐던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CPI) 대신 초박형 강화유리(UTG)를 사용해 주름이 잡히는 문제를 개선했지만 외부 충격엔 약하다는 단점을 노출했다. 

    728x9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