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래차 자율주행 관련주 및 수혜주 총 정리
자율주행이란?
자율주행차란 운전자가 핸들,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 차량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합니다. 최근 자동차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차 업체 테슬라뿐만 아니라 국내외 주요 자동차업체들도 자율주행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전국 모든 도로에서 사고 발생률 '0'의 완전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데 7년간 1조여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융합형 완전자율주행의 기반을 닦고 교통사고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을 물론,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로 대표되는 미래차 시장을 선점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자동차가 스스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특히 주변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첨단 센서와 성능 높은 그래픽 처리 장치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첨단 센서는 사람처럼 사물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험을 감지하여 사각지대(보이지 않는 곳) 없이 모든 지역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래픽 처리 장치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의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그 이미지를 분석해서 자동차가 안전하게 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여러 안전 표지판의 의미를 파악한다거나, 앞의 자동차가 급정거를 하지 않는지, 갑자기 사람이나 동물이 도로에 뛰어드는 것은 아닌지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우선 사고 발생 제로(0)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영상 인식·처리 기술, 차량 플랫폼 기술, 차량 부품·시스템의 평가기술 등 차량 융합 신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또 자율주행의 안전을 강화하고 지능을 고도화하는 차량-엣지-클라우드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차량 통신·보안, 자율주행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등 ICT 융합 신기술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 져야 합니다..
도로나 교통안전시설 등의 교통인프라 정보와 자율주행 기술을 연계해 안전한 자율주행 기술을 확보하는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도 개발 대상입니다.
자율주행차 관련주
THE MIDONG (161570) |
차선이탈경보시스템(LDWS), 전방추돌경보시스템(FCWS), 후방주차지원시스템(RPAS), 보행자인식경보시스템(PCWS) 등의 ADAS(첨단운전자 지원시스템) 사업을 본격화. |
에스모 (073070) |
18년1월 자율주행 플랫폼 전문개발 전담 자회사 '엔디엠' 설립. 엔디엠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음성인식 기업 ‘아폴로(Apollo)’와 자율주행 AI 음성인식기술 엔진 개발 중. |
모트렉스 (118990) |
IVI(In Vehicle Infotainment),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비롯해 스마트카, 자율주행자동차, 커넥티드카 및 스마트카의 필수 장치 HUD(Head Up Display),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등을 개발, 제조하는 자동차부품 업체. |
앤씨앤 (092600) |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전문업체 베이다스 인수. 베이다스는 3D 어라운드뷰 모니터 관련 특허권 보유. 베이다스가 中롱혼 사와 어라운드뷰 모니터 시스템 공급계약 체결. |
만도 (204320) |
차선변경 안전시스템(LKAS), 자동주차시스템(SPAS), 자동브레이크시스템(AEB), 차간거리유지시스템(SCC), 측후방사각지대 감시/경고시스템(BSD) 등 전장부품을 개발/생산. |
대성엘텍 (025440) |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으로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인 ADAS 시스템 및 AVM 제품군인 FCWS(전방추돌방지시스템), LDWS(차선이탈방지시스템) 등을 개발. 17년5월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데이터 저장 장치(ADR) 기술개발 국책과제에 선정. |
칩스앤미디어 (094360) |
비디오 분야에 특화된 반도체 IP(설계자산) 전문업체. 자율주행차 반도체 세계 1위 업체인 NXP에 부품 공급. |
팅크웨어 (084730) |
내비게이션 및 Map S/W,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용 액세서리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 상표로 아이나비 시리즈 등을 보유. 운전자 안전 보조 기능이 탑재한 자사 최초의 차량 안전주행 보조시스템(ADAS) 전용단말기 상품 출시. |
파인디지털 (038950) |
차량용 내비게이션 및 블랙박스, 이동통신장비 등을 개발, 판매하는 업체. “파인드라이브(Fine Drive)” 브랜드로 내비게이션을 생산하고 있으며, 음성인식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임. 항공우주연구원과 기술이전 계약을 맺고 초정밀 위성위치확인시스템 기술 상용화를 연구중. |
인포뱅크 (039290) |
Smart Car서비스(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솔루션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 현대차그룹에 스마트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공급. |
한국단자 (025540) |
자동차 및 전자용 초정밀 커넥터를 주력 생산하는 종합 부품제조업체. 자율주행차 개발에 따른 커넥터 수요 증가 전망. |
엔지스테크널러지 (208860) |
커넥티드카 솔루션 및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차량의 내, 외부 통신망과 자동차를 연결시키는 솔루션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 자율주행차의 핵심기술인 '스마트 클러스터 솔루션' 개발. |
트루윈 (105550) |
인덕티브 방식 자동차용 센서 생산업체. 자율주행차 관련 '레이더 개발' 진행 중. 자율주행자동차 등의 수요 증가에 대응 가능한 비즈니스모델 수립 등을 목적으로 18년8월 (주)시리우스를 흡수합병해 적외선 이미지(IR) 센서 개발 및 판매사업 영위. |
에이스테크 (088800) |
안전주행 보조시스템(ADAS)을 구성하는 여러 센서 가운데 전파 특성을 이용해 물체의 거리와 각도, 속도를 탐지하는 차량용 레이더 관련 특허기술 보유. |
에이테크솔루션 (071670) |
2016년 상반기에 자율주행 관련 국책과제 참여업체로 선정. 이탈리아 자동차부품 회사 마그네티 마렐리(Magneti Marelli)에 램프 관련 금형 제품 납품중. |
코리아에프티 (123410) |
자동차부품 전문업체. 신규사업으로 자율주행차 핵심기술인 자동긴급제동시스템(AEBS) 소프트웨어 센서 칩 "스마트코리아에프티 뉴로모픽 디텍터(SKND)"를 개발. |
캠시스 (050110) |
전장-IT 사업(영상기반 ADAS 사업) 영위 업체. 커넥티드카 지원을 위한 통신형(wifi, LTE) 블랙박스 제품 개발을 진행중이며, 자율주행 관련 국책과제 진행. 中 화위자동차시스템주식유한공사와 자율주행기능 관련 기술제휴 체결. |
모바일어플라이언스 (087260) |
자동차관련 전자부품 개발업체. 자동차 LBS와 관련된 내비게이션, HUD(Head Up Display), 자율주행과 관련된 안전보조장치인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차량용 블랙박스 등을 개발, 제조. |
텔레칩스 (054450) |
멀티미디어, 통신 관련 시장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제품에 필요한 핵심 Chip 및 Total Solution을 개발 및 판매하는 사업 영위 업체. 카오디오, Display Audio, AVN(Audio/Video/Navigation) 등의 차량용 전장 제품에 AP 등 멀티미디어칩, 모바일 TV 수신칩, Connectivity 모듈을 공급. 자동차 오디오ㆍ비디오ㆍ내비게이션 (AVN)용 반도체 AP칩, 셋톱박스 AP칩을 국산화. |
삼보모터스 (053700) |
자회사 프라코가 스마트크루즈컨트롤(SCC) 커버 개발에 성공해 현대차 제네시스 'EQ900'과 'i30 유럽형'에 공급.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관련 부품 등도 개발 중. |
한라홀딩스 (060980) |
동사와 독일 헬라(Hella)의 조인트벤처인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가 제동 및 조향 장치용 ECU, 센서류(Yaw&G, Torque, Wheel Speed Sensor 등) 및 ADAS용 센서를 생산 및 판매중. |
유니퀘스트 (077500) |
ADAS 관련 원천기술을 가진 PLK테크놀로지의 지분을 보유. 현대/기아차에 LDW(차선이탈경보)를 공급한 바 있으며, ADAS 핵심기술인 알고리즘 기술을 통하여 모빌아이처럼 ADAS Chip을 자체 생산중. |
이에스브이 (223310) |
17년1월 차량자율주행용 센서 개발을 완료. 17년10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3종 기능을 구현하는 지능형 고해상도 블랙박스 출시. |
켐트로닉스 (089010) |
전자용 부품 및 화학소재 전문업체. 신규사업으로 V2X 통신 기술(자율주행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등) 개발. |
한국테크놀로지 (053590) |
자동차 전장 및 기술엔지니어링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중. 현대차, 국민대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발주한 총 500억원 규모의 '대중교통 시스템 연구와 V2X 상용차(트럭)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과제 공모'에 참여했으며, 18년6월 자율주행 연구개발 사업자로 선정돼 개발에 착수. |
디에이테크놀로지 (196490) |
18년11월 에스모, 위즈돔, 엔디엠과 함께 한국형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과 공유차량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4자간 MOU를 체결. 동사와 위즈돔은 공유차량 서비스 활성화 및 자율주행 차량 도입을 위한 시범서비스 운영 등을 담당할 계획임. |
드림텍 (192650) |
차량용 LED모듈, ADAS 모듈 및 HUD 모듈 등의 사업 영위. 관계사인 PLK 테크놀로지의 ADAS 제품 관련 모듈 공급 중. |
아이에이 (038880) |
탄화규소(SiC) 기반 전력반도체 상용화를 위한 샘플 개발에 성공. 비메모리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2017년 12월 자율주행용 ADAS 핵심기술인 '카메라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국책 과제 참여. |
아이쓰리시스템 (214430) |
자율주행의 기술로 알려진 적외선 영상센서 제조기술 보유. 자동차 야간 장애물 감지나, 자동긴급제동(AEB)용 초소형 적외선 MEMS칩 개발 중. |
엠씨넥스 (097520) |
카메라 모듈 전문업체. 차선이탈경보카메라(LDWS), 통신핸들조향연계 후방카메라(CAN), 졸음방지(DSM 카메라), 나이트비젼 등을 개발중. ‘360도 어라운드 뷰(사방영상)’ 시스템 기술 보유. |
에이치엔티 (176440) |
18년4월 자동차융합기술원과 자율주행차용 카메라 제품 연구개발 위한 MOU 체결. 19년5월 자율주행 관련 3D Mapping을 통한 위치정보 사업 및 위치기반 서비스 사업, 플랫폼 및 정밀지도시스템 구축 사업 등을 사업 목적에 추가. |
옵트론텍 (082210) |
전장 기반의 ODM 사업을 위하여 광학설계, 기구설계, 회로설계 기술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장용 자율주행시스템(Level 4)에 적용되는 카메라 렌즈의 개발에 성공하여 공급을 진행중임. 자율주행 카메라 렌즈 광학계 특허 취득. |
세코닉스 (053450) |
초정밀 카메라 렌즈 전문 제조업체로, 차량용 카메라 렌즈 등을 생산. MEGA급 디지털 카메라, 조향연동카메라, LDWS(차선인식), LKAS(차선유지지원), FCW(전방추돌경고), 이더넷 카메라, HBA(하이빔어시스트), DSM(운전자졸음인식), 사이드미러리스, HUD(헤드업디스플레이) 등의 기술 개발. |
하이비젼시스템 (126700) |
초소형 카메라모듈(CCM)의 자동검사시스템 전문업체로 자율주행용 비젼센서 검사장비 개발. 테슬라 자율주행 차량에 자율주행용 카메라 검사장비와 영상 처리보드 납품.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적용 가능한 플라잉 비전 카메라 개발. |
라닉스 (317120) |
자동차와 사물인터넷(IoT)의 핵심기술인 무선통신 등을 영위하는 토털 시스템반도체 솔루션 업체.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핵심기술인 DSRC(단거리 전용통신) 통신 솔루션과 협력-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기술인 V2X 통신 통합 솔루션을 개발하여 고속도로 하이패스 시스템, 주차장 관리 시스템, 교통정보 시스템 사업 등을 영위. |